리눅스이야기(10)
-
[라즈베리파이] mariadb GUI tool
라즈베리파이에서 mariadb를 설치 후 GUI 툴을 찾아봤다. 처음 설치시 로컬에서 root로 밖에 접속이 안되는 관계로 라즈베리파이에서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쉽지 않아 툴을 찾아보게 되었다는... emma라는 툴을 찾아서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sudo apt-get install emma설치 후 Programming 폴더에서 찾아볼 수 있다. GUI 환경에서 쉽게 반영할 수 있다.
2025.05.14 -
🧠 라즈베리파이 GPIO 제어? 어떤 라이브러리를 써야 할까? [2025 완전 정리]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는 작고 강력한 싱글보드 컴퓨터로, 전 세계적으로 DIY 프로젝트나 IoT 개발에 많이 활용되고 있어요.그중에서도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활용한 하드웨어 제어는 가장 인기 있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그런데…"Python으로 GPIO 제어하려면 어떤 라이브러리를 써야 하지?"라는 고민, 해보셨죠? 😅그래서! 오늘은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GPIO 제어 라이브러리들을 깔끔하게 비교해드립니다.✅ 1. RPi.GPIO – 라즈베리파이의 기본기📦 설치sudo apt install python3-rpi.gpio 대부분의 라즈베리파이 OS에 기본 내장되어 있어요!💡 예제 코드import RPi.GPIO as GPIOimpor..
2025.05.14 -
[MySql] /tmp 디스크가 꽉 찼을 경우에 문제 수정
어느날 갑자기 잘 돌아가던 서버가 디스크 /tmp 디스크의 용량이 뷰족 하다고 메시지를 전해왔다.DB에 접속이 불가하여 진행이 어려운 상태였다. 1. 디스크의 /tmp 용량을 늘린다.대부분 리눅스의 경우에 /etc/mysql의 my.cnf 를 설정하여 처리한다. 아래의 경우 없을에 추가하여 반영한다. [mysqld]tmp_table_size = 10Gmax_heap_table_size = 10G 2, mysql을 restart 한다.1번을 적용하고 새롭개 restart 한다.sudo service mysql restart 이렇게 해서 서비스 서버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2024.03.10 -
[Linux] samba 설정(윈도우와 리눅스의 파일공유설정)
리눅스 시스템에 공유폴더를 생성하여 윈도우와 연동하는 방법인 samba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봤다. 너무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해서리.. https://inpa.tistory.com/entry/LINUX-%F0%9F%93%9A-%EC%82%BC%EB%B0%94SAMBA-%EC%84%A4%EC%B9%98-%EC%84%A4%EC%A0%95-%E2%80%BB-%EC%B4%9D%EC%A0%95%EB%A6%AC 🐧 삼바(SAMBA) 설치 & 설정 방법 [리눅스 ↔ 윈도우]삼바(SAMBA) 란? 윈도우, 리눅스 OS 끼리 파일을 서로 옮길 경우 이 일이 얼마나 번거로운지에 동감할 것이다. 보통은 FTP, SFTP 서버를 열어두고 FileZilla 같은 파일공유 툴을 이용하여 옮겼을 것이다.inpa.t..
2024.01.18 -
[라즈베리파이] 화면캡쳐 프로그램인 shutter 설치
1. shutter 프로그램 설치 우분투에서는 화면캡쳐라는 프로그램으로 shutter라는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라즈베리파이는 없다보니 찾아보게 되었다. 일단, snapd 라는 패키지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스냅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아래의 스크립트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가 필요하다. 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install snapdsudo rebootsudo snap install core설치가 완료되면, sudo snap install shutter캡쳐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아래의 위치에 설치가 되는것 같다. /var/lib/snapd/desktop/applications 2. shutter 프로그..
2023.12.29 -
[라즈베리파이] transmission 에 대한 설정
1. transmission 설명 라즈베리파이에 토렌트프로그램으로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이 부분이 먹튀가 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다운로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배포가 되는 문제가 있어서 찾다보니 트랜스미션을 사용하게 된 것 같습니다. 물론 서버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큽니다.트랜스미션의 경우는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지 모르겠지만, 가장 유명한 것이 uTorrnet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클라이언트의 경우가 아니라 서버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미지에서 보면 배포의 경우는 파란색 또는 녹색으로 표시된다. 파란색의 경우는 배포가 되면서 다운로드 중이고, 녹색의 경우는 다운로드를 모두 받았으나 배포만 하고 있는 상태이며, 회색의 경우가 다운로드 후 바로 배포를 중지하는 옵션을..
2023.12.28